티스토리 뷰

목차



     

    이번글에서는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시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2급 시험 기출문제를 살펴보려고 합니다.

    (최신 개정사항 반영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소방안전관리자2급 기출문제

     

    1. 연면적 43,000㎡인 업무시설에 선임해야 하는 소방안전관리자와 소방안전관리보조자 최소인원으로 알맞은 것은?

    ① 소방안전관리자 1명, 소방안전관리보조자 1명

    ② 소방안전관리자 2명, 소방안전관리보조자 1명

    ③ 소방안전관리자 1명, 소방안전관리보조자 2명

    ④ 소방안전관리자 2명, 소방안전관리보조자 2명

     

    정답 : 3번

    연면적 43,000㎡ 인 업무시설의 경우 1급 소방안전관리자 1명이 선임돼야 하며, 15,000㎡ 마다 1인을 선임해야 하는 소방안전관리보조자는 2명 이상 선임돼야 한다. (43,000/15,000)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2. 다음 중 특정소방대상물의 각 부분으로부터 1개의 소화기까지의 보행거리로 알맞은 것은?

    ① 소형소화기 : 10m 이내, 대형소화기 : 20m 이내

    ② 소형소화기 : 10m 이내, 대형소화기 : 25m 이내

    ③ 소형소화기 : 20m 이내, 대형소화기 : 30m 이내

    ④ 소형소화기 : 20m 이내, 대형소화기 : 35m 이내

     

    정답 : 3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3. 다음 중 한국소방안전원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소방기술과 안전관리기술의 향상을 위해 설립되었다.

    ② 소방안전관리자로 선임된 사람으로서 회원이 되려는 사람은 회원의 자격에 해당된다.

    ③ 방염처리 물품의 성능검사 실시기관이다.

    ④ 소방기술과 안전관리에 과한 조사 업무를 수행한다.

     

    정답 : 3번

    방염처리 물품에 대한 성능검사 실시기관 : 선처리물품은 한국소방산업기술원, 현장처리물품 시·도지사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4. 다음 중 소방기본법의 목적이 아닌 것은?

    ① 화재예방 및 경계·진압

    ② 화재, 재난·재해 등 위급한 상황에서의 구조·구급

    ③ 공공의 안녕 및 질서유지와 복리증진에 이바지함

    ④ 화재로부터 공공의 안전을 확보

     

    정답 : 3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5. 다음 중 소방안전관리자의 업무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을 모두 고르시오.

    (가) 피난계획 사항과 소방계획서를 작성하고 시행하는 업무가 포함된다.

    (나) 피난시설, 방화구획 및 방화시설을 유지, 관리해야 한다.

    (다) 관계인을 대상으로 화기취급 관련 훈련 및 교육을 진행해야 한다.

    (라) 소방시설 및 그 밖의 소방 관련 시설을 유지, 관리해야 한다.

    (마) 자위소방대를 운영, 교육하지만 조직을 구성하는 업무는 해당되지 않는다.

    ① (가), (다)

    ② (다), (마)

    ③ (가), (나), (라)

    ④ (가), (다), (마)

     

    정답 : 2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6. 다음의 표에서 빈칸 (가), (나), (다)에 들어갈 숫자로 알맞은 것은?

    구 분 옥내소화전 옥외소화전
    방수압력 (가)~0.7MPa 0.25~0.7
    방수량 130L/min (나)L/min
    호스구경 40mm (다)mm

     

    ① (가) 0.12 (나) 450 (다) 65

    ② (가) 0.12 (나) 350 (다) 65

    ③ (가) 0.17 (나) 450 (다) 65

    ④ (가) 0.17 (나) 350 (다) 65

     

    정답 : 4번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7. 화재예방강화지구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위험물의 저장 및 처리 시설이 밀집한 지역을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수 있다.

    ② 소방관서장은 화재 발생의 위험이 큰 경우 목재, 플라스틱 등 가연성이 큰 물건의 제거, 이격, 적재 금지 등을 명할 수 있다.

    ③ 소방관서장은 화재발생 우려가 크거나 화재가 바생할 경우 피해가 클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에 대해 화재예방강화지구로 지정할 수 있다.

    ④ 화재예방강화지구에서는 모닥불, 흡연 등 화기를 취급하는 행위를 해서는 안된다.

     

    정답 : 3번

    소방관서장이 아닌 시·도지사가 지정, 관리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8. 다음 중 화재안전조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경우가 아닌 것은?

    ① 화재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곳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

    ② 화재예방강화지구 등 법령에서 화재안전조사를 하도록 규정된 경우

    ③ 자체점검이 불성실하거나 불완전하다고 인정되는 경우

    ④ 국가적 행사 등 주요 행사가 개최되는 장소 및 그 주변의 관계 지역에 대해 소방안전관리 실태를 점검할 필요가 있는 경우

     

    정답 : 1번

    화재가 자주 발생하였거나 발생할 우려가 뚜렷한 곳에 대한 점검이 필요한 경우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9. 용접작업의 화재 위험성에 대한 설명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용접작업시에 작은 입자의 용적들이 비산하는 현상을 스패터 현상이라고 한다.

    ② 용접 불티의 비산거리는 실내에서 무풍 시에 약 11m이다.

    ③ 가스용접에서는 용접의 불꽃의 세기가 강할 경우 스패터 현상 발생률이 높아진다.

    ④ 아크용접에서는 가스폭발, 아크 휨, 짧은 아크 등일 경우 스패터 현상이 발생하게 된다.

     

    정답 4번

    짧은 아크가 아닌 긴 아크일 때 스패터 현상 발생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10. 소방대상물의 설치장소별 피난기구의 적응성으로 옳지 않은 것은?

    ① 공연장 4층에 피난사다리를 설치했다.

    ② 노유자시설 4층에 미끄럼대를 설치했다.

    ③ 교육연구시설 3층에 미끄럼대를 설치했다.

    ④ 다중이용업소 4층에 완강기를 설치했다.

     

    정답 : 2번

    4층 이상에 미끄럼대 설치 불가

    노유자시설 4층 이상~10층 이하 : 구조대, 피난교, 다수인피난장비, 승강식피난기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 

    소방안전관리자 2급 응시자격 심사 신청 절차

    이번글에서는 한국소방안전원에서 시행하는 소방안전관리자 2급 자격시험의 응시자격 심사방법에 대해 알아보고자 합니다. 소방안전관리자 자격은 특급, 1급, 2급, 3급으로 나뉘는데 그중 가장

    c.self-prophecy.com